광주광역시 동구, 일반 주택가에 ‘선불형 음식물쓰레기 종량기’ 설치
검색 입력폼
동구

광주광역시 동구, 일반 주택가에 ‘선불형 음식물쓰레기 종량기’ 설치

자원순환 플랫폼 ‘동구라미 온’ 연동, 배출량 정보 제공

일반 주택가에 ‘선불형 음식물쓰레기 종량기’ 설치
[복지TV호남방송]광주 동구는 공동주택에만 설치·운영했던 ‘음식물쓰레기 RFID 종량기’를 일반 주택가의 재활용 동네마당 5곳에 설치했다고 밝혔다.

‘음식물쓰레기 RFID 종량기’는 현재 동구 관내 공동주택 82%에 보급된 상태이며, 아파트 외 단독주택 지역에도 보급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설치 장소는 ▲진양아파트 앞 공영주차장 재활용 동네마당 ▲지원1동 공영주차장 재활용 동네마당 ▲삼태경로당 앞 공영주차장 재활용 동네마당 ▲성촌경로당 앞 주차장 재활용 동네마당 ▲지산2동 재활용 동네마당 등 5곳이다. 내지마을에도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동구는 아파트 외 주택 비율이 44%(세대 기준)에 달하고 있어 골목길 환경개선과 함께 음식물쓰레기 배출 감량이 크게 기대된다.

선불형 음식물쓰레기 종량기는 카드 인식 후 무게에 따라 수수료를 부과하는 시스템으로 이용자 별 배출한 만큼만 수수료가 차등 부과·납부할 수 있어 시민들의 만족도가 높다.

특히 음식물쓰레기 납부 필증(스티커)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전용 수거용기(통)를 가득 채울 필요 없이 소량의 음식물도 버릴 수 있어 가정에서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할 때마다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선불형 종량기 배출 수수료는 1㎏ 당 95원으로 기존 납부필증(스티커) 비용과 비슷한 수준이고, 캐시비 등 충전식 선불카드,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체크·신용카드를 이용하면 된다.

이번에 설치된 선불형 종량기의 큰 차별점은 동구에서 개발한 자원순환 플랫폼 어플 ‘동구라미 온’에 연동돼 개인별 배출량 통계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단순히 음식물을 버리는 것을 넘어, 변화량 추이 등을 확인하고, 감량을 위한 노력·성과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해 ‘음식물쓰레기 감량 콘테스트’ 등 정책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임택 동구청장은 “선불형 종량기 설치는 음식물쓰레기 감량뿐만 아니라 전용용기(통) 사용으로 인한 냄새 등 주민 불편 해소가 기대되며, 일반 주택가 골목환경 개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동구는 지난해 4월 산수2동 친환경자원순환센터에 ‘선불형 음식물 감량기’를 도입, 산수2동 꼬두메 자원순환 시범 마을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 결과 해당 지역의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이 도입 당시인 지난해 4월 대비 7월에는 6%, 12월에는 20%가 감소하는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인 바 있다.
양정기 기자 bodo@wbci.kr

오늘의 인기기사